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독교 강요 제1권 제3장: 하나님을 아는 지식은 사람의 마음속에 본성적으로 심겨졌음

by BibleSeeker 2025. 2. 1.

0. 서론

존 칼뱅(John Calvin)의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제1권 제3장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의 본성적 심겨짐"에 대해 다룹니다. 칼뱅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하나님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앙의 보편성과 계시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칼뱅이 말하는 본성적 지식(sensus divinitatis)의 개념과 특징, 한계, 그리고 신앙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

1. 본성적 지식이란 무엇인가?

칼뱅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인간에게 본성적으로 심겨져 있다고 말합니다. 그는 이를 "sensus divinitatis"(신성에 대한 감각)라고 표현하며, 모든 인간이 하나님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합니다.

이 개념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실 때 자신의 형상(Imago Dei)대로 만드셨다는 성경적 가르침(창세기 1:27)과 연결됩니다. 즉, 인간의 본성 속에는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2. 본성적 지식의 특징

칼뱅은 본성적 지식이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진다고 설명합니다.

① 창조의 결과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셨기에, 인간은 자연스럽게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종교적 감정이 아니라, 창조의 질서 속에서 본능적으로 내재된 것입니다.

② 보편적 종교성

모든 문화와 시대를 초월하여 종교적인 신앙이 존재합니다. 이는 인간이 본능적으로 신을 찾는 존재이며, 하나님을 향한 갈망이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③ 양심의 존재

인간이 도덕적 판단을 하고 양심의 가책을 느끼는 것은 우리 안에 신적인 기준이 존재한다는 증거입니다. 칼뱅은 이를 통해 하나님이 인간의 마음에 도덕적 법을 새겨 놓으셨다고 설명합니다.

④ 창조의 증거

칼뱅은 자연 세계의 질서와 아름다움이 창조주의 존재를 증거한다고 강조합니다. 시편 19:1에서도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의 손으로 하신 일을 나타낸다"라고 말씀하는 것처럼, 자연을 통해 하나님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3. 본성적 지식의 한계

그러나 칼뱅은 이 본성적 지식이 완전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인간의 죄로 인해 이 지식은 왜곡되고 흐려졌기 때문입니다.

그는 이를 "sensus deitatis"(신성에 대한 희미한 감각)이라고 표현하며, 죄로 인해 하나님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없다고 설명합니다. 인간은 스스로 하나님을 바르게 알 수 없으며, 오히려 다음과 같은 문제를 겪습니다.

우상 숭배: 하나님을 잘못된 방식으로 섬기려는 경향이 생깁니다.
무신론과 불신앙: 하나님을 부정하거나 외면하려는 성향이 나타납니다.
인간 중심적 사고: 하나님보다 자신의 생각을 더 신뢰하게 됩니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인간은 특별계시, 즉 성경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계시가 필요합니다.

4. 특별계시(성경)의 필요성

칼뱅은 하나님을 온전히 알기 위해서는 성경의 계시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합니다.

본성적 지식의 역할: 하나님을 찾도록 돕는 기초적인 역할을 합니다.
성경의 역할: 본성적 지식이 왜곡되지 않도록 명확한 진리를 제공합니다.
성령의 역할: 인간이 성경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믿도록 조명하십니다.

즉, 본성적 지식은 하나님을 향한 기본적인 인식을 제공하지만, 구원에 이르기 위해서는 성경과 성령의 역사가 필수적입니다.

5. 칼뱅의 가르침이 주는 의미

칼뱅의 가르침은 기독교 신앙과 실천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 신앙의 보편성

모든 인간이 하나님을 알고자 하는 기본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독교 신앙은 특정 민족이나 문화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 전도와 선교의 전략

복음을 전할 때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내재된 영적 인식을 일깨우는 방식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인간의 책임

모든 인간이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나님 앞에서 책임을 져야 합니다. 본성적 지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을 거부하는 것은 결국 인간 자신의 선택입니다.

✅ 계시와 성경의 중요성

본성적 지식의 한계를 인정함으로써, 성경과 성령의 역할이 더욱 강조됩니다. 단순히 하나님이 존재한다는 것을 아는 것이 아니라, 성경을 통해 하나님을 올바르게 알고 믿는 것이 중요합니다.

6. 결론

칼뱅의 "기독교 강요" 제1권 제3장에서 다룬 "하나님을 아는 지식의 본성적 심겨짐"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 인간은 하나님을 인식하는 기본적인 본성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 하지만 죄로 인해 이 지식이 왜곡되었으며, 올바른 신앙을 갖기 위해서는 성경과 성령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 본성적 지식은 하나님을 찾도록 돕지만, 궁극적인 구원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복음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교리는 기독교 신앙의 보편성을 강조하고, 복음 전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인간의 마음속에 본성적으로 새겨진 하나님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성경을 통해 더욱 깊은 신앙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님을 알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성경을 통해 더욱 분명한 진리를 깨닫고 믿음의 길을 걸어가시길 바랍니다.